투자 TALK

트럼프 당선후 첫 금리 인하 이루어질까 ?

더 나은 삶을 위한 몇가지... 2025. 2. 13. 13:47
728x90
728x90

트럼프가 당선되고 이야기한 것 중에 하나가 금리인하입니다. 

 

어제 뉴스에서 하루종일 미국 금리에 대해서 이야기하는데 제 생각부터 이야기하자면 트럼프가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고 금리는 동결될 거 같습니다. 

 

미국의 물가상승지표도 3%로 안좋게 나왔고 이는 금리 인하보다는 연준에서는 동결을 택할 거 같습니다. 

 

트럼프는 왜 금리 인하를 원하나? 

 

처음부터 계속 이야기 하고 있는 부분이지만 트럼프는 미국 내 제조업을 부활시키고 싶어 합니다. 

 

그래서 금리가 인하되면 기업과 개인의 대출부담이 낮아지며 미국내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게 됩니다. 

 

그래서 트럼프는 지금 최소 1%정도의 금리 인하를 생각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 철강관세를 때리면서 이야기 한 상호관세 부분과 상반되어 보이지만 다른 게 생각해 보면 해외 기업들의 미국 내 시장투자를 촉진시키려는 방법일 수도 있습니다. 

 

미국에 투자하고 미국내에서 제조 하고 소비하며 수출하면 된다는 생각일 겁니다. 

 

저는 순서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철강관세와 상호관세가 미국 내 산업을 보호한다는 명목에 실행했지만 미국 내 인플레이션 우려를 가지고 왔고 이는 연준이 금리 인하를 하는 데 있어서 고민만 늘린 결과인 거 같습니다. 

 

트럼프의 정책은 미국만 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아마 다른 나라에서는 자국내 인플레이션 우려를 해결하고 난 후 금리를 인하해서 해외 기업에게 로비를 해 유치를 하겠지만 미국은 미국의 힘만 가지고 진행하는 모습니다. 

 

사실 이런 부분이 조금 시간이 지나면 트럼프 정부에 약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롬파월의 연준의장도 기준금리 인하에대해서 지표를 기준으로 이야기하고 있기에 트럼프의 막무가내식 금리인하 이야기보다 제롬파월의 이야기가 시장에 더 확실성을 준다고 봐야 할 거 같습니다. 

 

오늘 머스크가 아들을 데리고 인터뷰 하면서 역시 이번정권에 일인자임을 보였습니다. 

 

미국에서 자국내에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공무원을 개혁하고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가는 모습은 바람직 한 모습이지만 전 세계를 상대로 미국의 이익을 위한 상호관세 부과는 잘못되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미국의 세계에서 가장 힘있는 나라로 풀어줄 것은 풀어주고 받을 거는 받아가면서 협상테이블로 나와도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있는 나라이기에 이런 식의 통보와 같은 발표만으로 정책을 풀어가는 모습은 조금 안타깝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