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해상에서 중국배에 대해서 제재를 가하겠다고 하자 중국이 즉각적으로 희토류 7종에 미국 수출을 전면중단했습니다.
여기서 희토류가 왜 중요한지 알아봐야 할 거 같습니다.
희토류란
희토류란 채굴과 정제가 어려운 17종의 금속이며 이는 전자제품, 전기차, 방위산업, 신재생에너지, 반도체에 꼭 필요한 금속이고 현대에는 단순광물이라고 하기에는 군사, 기술, 반도체 등 산업에 필수 원재료로 분류됩니다.
진짜 희귀해서가 아니라 비슷한 성질끼리 썪여 있어서 분리 정제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데 중국은 오래전부터 이 부분에 투자를 해와서 채굴과 정제가 가능하며 전 세계에 90% 이상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미국도 대부분의 희토류를 중국에 의존하기에 이번 중국의 제재 조치가 미국의 첨단산업에 큰 타격으로 다가올수도 있습니다.
트럼프의 시간이 조금 줄어드는 모습니다.
지금 미국내에 얼마나 희토류를 수입해서 보유해 놨는지는 모르겠지만 중국의 즉각적인 시행으로 미국은 보유량을 다 사용하기 전에 다른 공급망을 찾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
하지만 전세계에서 90% 이상을 생산하는 중국의 희토류를 지금 다른 공급망을 찾는다고 해도 수요를 다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거기다가 미국내에 희토류를 채굴 정제하는 시설을 만든다고 해도 희토류가 나오는 곳부터 찾는 것을 가정하면 1~2년 안에 지을 수 있는 시설이 아니기에 이번 중국의 희토류 수출 금지가 미국에 큰 타격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미국의 대응방안은?
대응방안이라고 해봐야 미국내 희토류를 생산과 정제하는 방법과 아니면 우방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인데 트럼프에게 지금 우방국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니 협력도 어려워 보입니다.
전략적 비축이라도 해놨으면 모르겠는데 중국이 보복관세때와는 다른게 즉각적인 수출중단으로 지금은 미국 내에 비축을 많이 해놨기만을 바래야 하는 상황인 거 같습니다.
거기에 중국이 미국에만 수출재제를 건 것이 아니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수출을 제한했기에 사실 다른 나라의 희토류를 가져다가 쓸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보입니다.
희토류 대체제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걸로 알고 있지만 사실 대체제가 나와서 산업에 적용될 때를 기다리는 것보다 중국과 협상하는 편이 빠를 것입니다.
트럼프의 직감으로 시작된 관세전쟁에서 미국이 힘들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트럼프의 계속되는 관세유예
시진핑이 주변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베트남등 동남아를 방문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 트럼프는 할수있는게 별로 없어 보입니다.
시진핑은 어짜피 미국이 시작한 관세전쟁에 피해자로 보이기에 자국에 이익을 위해서 발 빠르게 움직이는 모양새이고, 트럼프는 자기가 옳다고 믿는 관세정책에서 계속되는 실수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계속해서 관세 유예만 해주면서 상황을 모면하고 있는 거 같습니다.
어제도 일부 자동차 부품의 관세를 우예 했는데 사실 이건 미국으로 해외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미국으로 이전해 오기전에 공급망을 재편하는 모양새 보이기에 결과적으로는 관세유예를 하면서 시장에 충격을 줄이고 미국에 시간을 벌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시장은 트럼프가 보여주는 계속되는 관세유예에 상승을 하면서 마무리 했습니다.
사실 관세 유예일뿐이라 언제든지 트럼프가 원하면 바꿀 수 있다로 해석해야 되는데 세계 최강대국이라는 미국에서 하는 짓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옹졸하게 보입니다.
조금 불리하면 90일 유예하고 애플의 아이폰의 가격이 상승할꺼 같으니까 관세 면제, 자동차 산업에서 원하는 제조업이 미국에 들어오는 시기까지 관세 유예를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지금 현대 사회에 경제의 구조에 대해서 다시 공부해야 할 거 같습니다.
지금의 관세 정책과 미국의 제조업이 부활이 미국을 최강대국이자 세계의 경찰관지위에서 내려오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실제로도 지금 미국 시장에서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고 미국 국민의 생활과 바로 직결되는 10년물 국채 금리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국채금리의 상승이 트럼프의 행정에 큰 걸림돌로 보여지기에 이번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동안 얼마나 많은 나라와 어떤 협상을 할지 지켜봐야 할꺼 같습니다.
트럼프 리스크로 인한 미국 시장의 자금유출은 트럼프가 관세로 매꿀수 있다고 했던 미국 부채가 더 올라갈것으로 보여지며 사실 미국에 스테그플레이션은 오지 않을꺼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조만간에 한번 다시 채크해봐야 할꺼 같습니다.
생각했던거보다 트럼프가 미국을 위대하게 만드는것이 아니라 위태하게 만드는거 같아서 당분간은 시장에 투자를 소극적으로 가져가야 할꺼 같습니다.
'투자 TAL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풋, 파월풋의 풋의 뜻은? (2) | 2025.04.17 |
---|---|
하버드 대학 자금 동결 사태 (1) | 2025.04.16 |
미국의 관세면제 대상품목? (CBP) (0) | 2025.04.14 |
미중 치킨게임의 승자는? (0) | 2025.04.11 |
트럼프의 관세유예의 효과 (3)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