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TALK

ETF 투자시 커버드콜을 해야 할것인가에 대한 고민

더 나은 삶을 위한 몇가지... 2025. 2. 25. 12:30
728x90
728x90

ETF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면 많이 들어보셨을 거 같습니다. 

 

커버드콜 etf는 기본적으로 안정적인 수익과 시장의 변동성을 버틸 수 있어서 좋은 투자방법으로 선호받고 있습니다. 

 

배당을 받음으로 현금흐름까지 창출할수 있기에 장기투자에도 매력적이고 노후를 대비한 투자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커버드콜 ETF는?

 

커버드콜ETF는 주식을 보유하면서 콜옵션을 활용한 프리미엄을 받는 방식인데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지금 현제 5만 원임을 가정하고 100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면 한 달 동안 75,000원에 팔 수 있는 권리인 콜옵션을 다른 투자자에게 판매하고 옵션을 매도하는 대가인 프리미엄을 1000원을 받습니다. 

 

만약 삼성전자의 주가가 팔수있는 권리 금액인 75,000원이나 그 이하일 경우 옵션을 매도한 프리미엄임 1,000원의 수익이 생깁니다. 

 

만약 75,000원 이상인 80,000원이 되었다고 가정하면 75,000원에 매도가 이루어지고 프리미엄 수익이 1,000이 생깁니다. 

 

여기서 주가가 6만원대까지 빠졌다고 해도 프리미엄인 1,000원이 있기에 손실은 1만 원이 아닌 9천 원으로 마무리됩니다.

 

주가가 올라도 일정가격에 옵션이 걸려있어서 주가가 올라도 수익이 제한되고 떨어져도 손실이 줄어드는 구조로 커버드콜 ETF는 우상향 하더라도 크게 오름세를 보이지는 않습니다. 

 

장점과 단점은?

 

장점은 커버드콜 ETF는 배당과 같이 매달 옵션프리미엄을 지금하고 주가가 횡보하거나 하락하여도 추가적인 수익으로 주가를 방어할 수 있고 변동성이 낮아서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하다입니다. 

 

단점은 주가가 급등해도 수익에 제한이 있다 정도일 거 같습니다. 

 

대표적인 커버드콜 ETF는?

 

JEPI, QYLD, XYLD 가 있으며 JEPI, XYLD는 S&P500 지수를 기반으로 운용되며 QYLD는 나스닥 100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옵션 매도로 연 7% ~ 10% 정도 금액이 매달 배당금처럼 수익금이 들어오기에 자산은 운용하고 재투자하기에 용이합니다. 

 

내가 커버드콜을 하지 않는 이유

 

저는 기술주에 투자 중이기에 상승장이 횡보장보다 많을 거라 보기 때문에 변동선을 견디고 투자 중입니다.

 

지금 현제는 시장의 상승이 커버드콜의 옵션보다 높지 않을지는 몰라도 AI와 반도체 양자컴퓨터까지 기술주의 강세시장이 커버드콜보다 연수익률을 더 가지고 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제 팔란티어가 100불 이하로 떨어졌고 매수를 시작했는데 90불까지 빠질지는 몰랐습니다. 

 

사실 시장을 판단하는 건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기에 커버드콜도 하락은 하락대로 맞을 수 있고 상승에서 상승은 제한되니 사실 매력적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큰 상승보단 안정적인 현금흐름이나 주가의 횡보를 예상하시거나 배당처럼 정기적인 수익을 원할경우 커버드콜을 추천을 하는데 저는 배당이 목적이시면 배당주로 가시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커버드콜 포지션이 이래 저래 조금 애매하다고 생각하기에 저는 1년 정도 꾸준히 모아가던 JEPI를 2달 전에 전량 매도 했습니다. 

 

저는 당분간은 커버드콜은 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