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비트코인을 전략자산으로 하겠다는 이야기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지금 비트코인과 그 외 코인들은 전부 하락을 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번 비축자산 이야기하면서 뜬 코인은 트럼프 자기 자신의 밈코인밖에 없는거 같아서 참 씁쓸합니다.
대통령이라는 자리에서 그렇게 밈코인을 발행해서 돈을 벌었어야 하나라는 생각을 잠깐 해봅니다.
가상자산시장
지금 가상자산 시장에서의 대장주인 비트코인은 8만9천 달라까지 내려왔고 이는 우리나라돈으로 환산하면 1억 5천에서 1억 3천 선이 깨진 모습입니다.
한 달 전만 해도 트럼프 효과에 사상 최고가인 10만 9천 달러를 찍었을 때와 너무 비교되는 상황입니다.
대표적인 비트코인에 투자하는 미국 기업인 스트래티지는 하루만에 주가가 10% 이상 하락하기도 했으니 이번 하락에 관련 주식들까지 주가의 영향을 받는 모습을 보니 비트코인이 이제는 시장경제에 많이 자리매김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가상자산의 해킹
안전하다고 이야기하던 가상자산이 지난 21일 해킹도 당했습니다.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비트가 해킹을 당해서 2조원의 코인이 탈취당했고 우리나라 업비트는 금융당국에 3개월간의 제재를 받기도 했습니다.
트럼프의 움직임
가상자산 대통령이 되겠다고 취임전부터 이야기했지만 취임하고 나서는 사실상 공약에 진전이 없는 모양새입니다.
백악관이나 그 어디에서도 비트코인에 전략자산에 대한 언급이 없는데 이는 지금 현제 관세 전쟁에 집중하기에 어느 정도 일단락이 된 후 시행할 거 같습니다.
관세 전생때문에 미국 내 시장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기에 정부에서 가상자산에 함부로 손을 대었다가 실물경제가 망가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사실상 미국내에서도 가상자산에 대해서는 찬반여론이 많은 부분이라 전략자산까지 가기에는 많은 걸림돌이 있을 거 같습니다.
결론
관세전쟁에서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한 금리가 인하되면 비트코인 같은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가 늘어날 거라고 보는 분들도 있는 거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 현제 미국은 금리를 인하하는건 쉬워 보이지 않습니다.
관세전쟁은 관세전쟁만으로 미국내 인플레이션만 올릴 것을 보이고, 연준은 이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금리 인하보다는 당분간 현 상황을 유지하는 금리 동결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전에 미국내 경제 지표가 변동이 있다면 모를까 연준에서의 움직임은 신중할 것입니다.
트럼프의 밀어붙이는 정치가 조금 빨리 동력을 잃어가는 모습을 보일꺼 같습니다.
사실 이렇게 밀어붙이는 정치를 하려면 정치적으로 국내의 지지층이 기반이 되어 과반이상의 찬성으로 민주주의 방식을 통해서 밀고 붙여야 하는데 트럼프는 행정명령을 통해서 너무 서두르는 모습입니다.
그래서 저는 당분간은 비트코인은 성장동력이 없어 보입니다.
미국내에서 전략자산으로 비축하는 움직임이 있어야 다시 오르기 시작할 거 같지만 비트코인을 매수하고 계신분들한테 지금 가격은 매력적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비트코인에 대해서 비관적인 입장이였는데, 채굴하여 디지털 자산을 얻는다라는 개념이 일하지 않았는데 돈을 번다는 개념과 같다고 생각했기에 투자를 하지 않았고, 사실 이 비트코인 시장은 자산에 대한 불안함으로 모여든 돈이 시장을 끌어올렸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결론적으로 보면 제 생각은 틀렸고 지금의 가상자산 시장은 주식시장과 같은 활성도를 보이며 많은 사람들이 꿈을 쫓아 가는 모습을 보니 이 시장도 장기적으로 나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비트코인에 직접적으로 구매하는건 아직도 조금 망설여지니 비트코인 ETF를 알아봐야겠습니다.
'투자 TAL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케리 청산이 시작될까 ? (2) | 2025.03.05 |
---|---|
우크라이나는 이번 전쟁에서 어떻게 될까? (1) | 2025.03.04 |
미국시장의 하락은 스테그플레이션의 전조증상일까? (1) | 2025.02.26 |
ETF 투자시 커버드콜을 해야 할것인가에 대한 고민 (1) | 2025.02.25 |
내가 SCHD를 매도한 이유 (1)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