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TALK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다음 전쟁은 중국과 대만일까?

더 나은 삶을 위한 몇가지... 2025. 3. 26. 13:24
728x90
728x90

지금 현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미국의 주도아래 휴전으로 들어가는 모습입니다. 

 

에너지 자원에 대한 30일간의 휴전에 이어 홍해에서의 선박에 대한 공격도 멈추었습니다. 

 

차근차근 휴전의 절차를 밟아 나가고 있는 모습이며 젤렌스키가 일부분 포기를 하고 휴전 협상에 대응하고 있기에 미국과 러시아는 서로의 이익을 가져가는 방향에서 휴전은 잘 마무리될 거 같아 보입니다. 

 

물론 유럽이라는 변수와 젤렌스키가 갑자기 방향을 튼다면 새로운 국면이 벌어질수도 있겠지만 그럴 확률은 낮아 보입니다. 

 

중국과 대만 

 

중국은 대만을 중국이라고 하며 평화통일을 우선시하며 저항시에 무력 사용도 배제 하지 않겠다고 이야기 합니다. 

 

시진핑도 대만을 자국영토로 만드는것이 목표이기에 대만의 입장에서는 불편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에 러우 전쟁을 보게 되면 러시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생각보다 고전했기에 중국이 대만을 공격할 가능성은 낮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조금 다른게 접근해 보면 시진핑 정권은 내부적인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를 돌파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대만 침공이라고 보여집니다. 

 

물론 대만을 침공하면 미국도 참전을 하겠지만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행보를 봤을대 대만을 지원하는 것이 뭔가가 미국에 이득이 돼야 적극적으로 도울 것 같습니다.

 

대만은 인도태평양 전략의 국사적 거점과 TSMC 정도가 미국이 대만을 지켰을 때 가져 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미 TSMC는 미국 시장에 공급망 강화를 위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입니다. 

 

전쟁을 한다면?

 

중국의 입장에서 내부적인 문제와 중국 내 공산주의 체제가 붕괴될 것 같은 신호가 보인다면 대만 침공을 강행할 수 있다고 보입니다. 

 

지금 미국에서 관세전쟁의 칼날이 중국으로 향하고 있고, 중국의 우방인 러시아도 미국의 주도하에 우크라이나와 휴전을 좋은 방향으로 마무리한다면 중국은 경제적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국의 입장에서 보면 첫번째로 이번 관세전쟁 때문에 미국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것이고 그렇다고 미국과 전면전을 하기에는 미국 본토를 공격했던 일본의 패망이 생각나기에 아마 미국과의 전면전은 피할것입니다. 

 

하지만 미국의 정책으로 자국내에서 생기는 문제가 달갑지 않을것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전쟁이라고 보입니다. 

 

두 번째로 대만 침공은 중국의 입장에서 미국과의 전면전은 피하면서 미국의 군사력과 남의 나라 땅에서 싸워볼 수 있기에 미국의 힘을 파악하기에도 좋은 방법이라고 보입니다. 

 

미국의 입장에서도 중국과 전면전을 한다는 것보다 대만을 앞세워서 하는 전쟁에서 힘을 보여주는 것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자기들이 원하는 것도 받을 수 있는 방향인 거 같습니다. 

 

미국이나 중국이나 본토를 공격하게 되면 서로 잃을 것이 많기에 아마도 전쟁을 크게 키우지는 않을 거 같기에 그 모든 피해는 대만이 받게 될것으로 보여집니다. 

 

결론 

 

중국과 대만의 전쟁이 벌어질 확률은 조금씩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중국은 중국대로 공격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고 대만은 대만대로 국가 방어 훈련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전쟁은 일어나지 않아야 하지만 전쟁이 일어난다면 대만은 큰 타격을 입을 것이고 ,미국 내에 많이 진출해 있다고 하지만 TSMC도 공급망에 큰 차질이 생길 것입니다. 

 

반사적으로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들이 그 자리를 들어갈 수도 있기에 국익적인 목적에서만 본다면 우리에게 나쁜 일이 없어 보이지만, 국가 안보적으로 본다면 대만의 지리적 위치는 중요하기에 전쟁은 안 일어나는 게 좋습니다. 

 

이번 트럼프의 관세정쟁이 원만하게 잘 이루어져서 세계의 힘의 균형을 깨지 않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