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TALK

해방의 날? 분노의 날?

더 나은 삶을 위한 몇가지... 2025. 4. 4. 12:16
728x90
728x90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상호관세 행정명령을 발표하고 어제 미국 증시는 급격이 하락했습니다.

 

주요 지수는 나스닥은 약 6% 하락, S&P 500 은 4.9% 하락, 다우존스는약 4%가 하락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이번 하락은 대부분의 섹터에서 빠지는 모습을 보여줬으며 특히 기술주에 큰 하락으로 모든 지수가 많이 빠진 모습니다. 

 

트럼프의 말 한마디에 시장이 너무 움직이는 거 같아서 미국 시장에 투자를 멈춰야 하나 고민이 되는 하루였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생각

 

트럼프 행정부는 지금까지의 미국의 성장은 국가의 보조로 인한 것이니 이제는 민간의 투자가 이루어져서 새로운 방식으로 시장의 상승을 해야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입니다. 

 

말은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지금의 시장은 국가의 개입 없이 민간의 투자만으로 성장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과연 미국이 AI 분야에 정부의 투자를 빼고 민간의 투자만으로 중국의 정부가 지원하는 AI 회사를 이길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굳이 돈이 아니더라도 기업의 성장은 정부의 행정정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이러한 생각은 초등학생 같은 생각이며 굳이 이야기하지 않아도 될 이야기를 지금하고 있는 관세정책에 대한 합리화를 만들어 내려고 하는 거 같습니다. 

 

하지만 이번 관세 정책이 잘못됐다는 건 자기들도 곧 알게 될것으로 생각합니다. 

 

어떻게 하려고 하냐?

 

당근과 채찍이라고 생각하는데 채찍이 먼저이고 다음에 당근을 주면서 미국이 원하는 방향으로 협상을 이끌어가겠다는 이야기입니다. 

 

처음에 높은 관세를 부과해서 그 국가가 미국에 협상을 제안하면 트럼프는 넓은 아량을 베푸는 듯이 어느 정도 감면을 해주면서 미국의 이익을 가지고 가겠다 인데 여기서 틀어지면 안 되는 부분이 관세를 부과한 나라의 보복관세입니다. 

 

이러한 밀어붙이기식의 관세 부과를 했을 때는 관세를 맞은 나라에서 협상을 하려고 미국에 콜을 해야 하는데 EU, 중국, 캐나다는 강하게 보복관세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보복관세 부분도 서로 죽자는 식의 행동이기에 어느 정도 시점에서 협상을 할 것으로 보여지지만 쉽게 타협점을 찾기는 어려울것이라고 보여집니다. 

 

트럼프의 상호관세 부과기준 

 

트럼프는 미국과의 무역 불공정을 해소하고 미국의 산업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이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기준이 애매합니다. 

 

미국에 자동차에 10% 관세를 붙이면 우리나라 자동차에도 1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게 상호관세인데 여기에 트럼프는 미국에 불공정한 무역을 하는 나라에 추가적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계산을 할 것인가 의문인데 이게 단지 국각간의 수입 수출량을 나눠서 나오는 수치가 아니기에 계산을 빨리 할 수가 없을 뿐더러 전세계를 대상으로 해야 하는 계산을 미국이 다 계산했다는 듯이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자기들이 한계산이 무조건 맞다라는 식의 통보를 한것인데 과연 지금 트럼프가 발표한 상호관세의 적용률이 정확한것인지 의문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관세를 매기는 자동차는 상호관세가 부과가 가능한데 모든 품목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했기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비관세 장벽은 정확한 수치화 하기도 어려울 텐데 트럼프 정부는 그걸 고작 몇 달 만에 완벽하게 계산해 낸 듯이 상호관세를 발표했습니다.

 

진짜 계산을 해본 것이라고 보기에 기간이 너무 짧고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내면서 계산을 하겠다는 이야기인 거 같습니다.  

 

해방의 날?

 

미국 주식은 현재 높은 변동성과 투자자들의 관망으로 인한 자금 유입이 되지 않기에 기업들이 투자를 주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트럼프는 상호관세를 발표했으니 앞으로 협상으로 인한 시장의 흐름이 바뀔 거라고 하지만, 시장은 시장이 버틸 수 있는 한계가 있는데  과연 이번 트럼프의 정책을 시장이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미국 시장은 그동안에 미국 내수에서 이끌고 오는 자금과 기축통화를 이용해서 돈을 찍어내서 버텨왔는데 이번 트럼프의 조치에 많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해방의 날이 아니라 미국 시민과 미국에 투자하고 있는 이들에게는 분노의 날이었을 것입니다. 

 

결론 

 

일단 상호관세는 트럼프의 행정명령으로 발효되었고 이제는 각국이 어떻게 대처하나를 보면서 앞으로의 투자 계획을 세우면 될 거 같습니다. 

 

사실 지금 트럼프는 예측이 불능가하기에 미국시장이 저점이니 매수할 타이밍이라고 이야기하기도 어렵습니다. 

 

당장 다른 나라에서 보복관세 조치로 인하여 관세전쟁이 시작되면 미국시장은 지금은 바닥이 아닐 수도 있기에 돈을 비축하고 시장을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제 와서 드는 생각이지만 그동안에 주식을 정리해서 현금을 모아둔 버크셔는 앞을 내다보는 선구안 있는 거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