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63

미중무역전쟁은 어떻게 될까?

미국에서 중국에 추가관세를 부과하자마자 중국도 맞불관세 및 제제를 내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서로 죽이는 치킨 게임이 될것이냐, 아님 서로의 시장을 위해서 극적인 타협을 할 것이냐 인데 트럼프나 시진핑이나 내부적인 상황과 맞물려서 생각해 보면 굽히고 들어가는 게 쉬운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이번 관세 전쟁은 트럼프가 시작한것이라 트럼프가 숙이고 들어가는 모양새가 가장 나을 거 같은데 지금 트럼프가 관세 정책에 관련해서 숙이고 들어가면 트럼프 100일을 부정하는 모양새이기에 정치적으로도 악수가 될 것입니다.  미국의 상황 미국은 중국이 미국에 수출로 인하여 가장큰 이익을 보고 있는 나라라고 이야기하며 미국 내에서 돌고 있는 마약 펜타닐도 중국의 의도라고 이야기하면서 중국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투자 TALK 2025.04.09

4월7일 미국 주식시장의 공포지수 (VIX)

역시나 미국은 트럼프 때문에 말이 많습니다.  지금 상황만 봐서는 미국이 경기침체에 들어가면 미국 역사상 가장 최악의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트럼프도 그 상황을 만들고 싶지는 않을 것인데 시장이 생각처럼 움직이지 않는 모습이며 자기를 조지 워싱턴 같이 훌륭한 지도자라고 자화자찬하는데 역사가 평가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2025년 4월 7일(미국시간) 어제 미국장은? 다우존스는 0.9%, S&P500 은 0.2% 하락하면서 장을 마감하고 나스닥은 0.1% 상승하면서 마무리했습니다.  그동안에 큰폭으로 움직이던 변동성과 비교해 보면 횡보하는 느낌의 시장 흐름으로 보입니다.  어제 미국 시장의 재미있는 상황이 발생했는데 트럼프가 관세를 90일 유해한다는 가짜뉴스에 시장이 즉각적으로 반응해서 ..

투자 TALK 2025.04.08

트럼프가 만들어내는 미국 경기침체

트럼프는 무슨 생각일까요? 왜 이렇게 관세에 집착하는 것일까요? 지금 자기의 관세 행정명령에 전 세계적에서 천문학적인 돈이 사라지고 있고 가장 큰 타격은 미국의 시장이 받고 있는 듯 보이는데도 골프나 치면서 한가롭게 보내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봐야하는 부분은 표면적인 부분입니다.  무역 적자의 해소 트럼프는 더디피프티라고 해서 무역에서 적자를 보고 있는 나라는 발표했는데 여기는 한국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무역 적자부분은 미국이 손해를 보고 있다고 생각하는거 같은데 수입품에 관세를 매겨 수입품의 가격을 올리게 되면 수입은 줄 것이고 국내의 생산이 늘어날 것입니다.  즉, 관세로 인한 내수시장의 활성화인데 과연 트럼프의 뜻대로 진행될지 가장큰 의문이 가는 부분입니다.  각 국가가 수입을 하고 있다라는것..

투자 TALK 2025.04.07

해방의 날? 분노의 날?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상호관세 행정명령을 발표하고 어제 미국 증시는 급격이 하락했습니다. 주요 지수는 나스닥은 약 6% 하락, S&P 500 은 4.9% 하락, 다우존스는약 4%가 하락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이번 하락은 대부분의 섹터에서 빠지는 모습을 보여줬으며 특히 기술주에 큰 하락으로 모든 지수가 많이 빠진 모습니다.  트럼프의 말 한마디에 시장이 너무 움직이는 거 같아서 미국 시장에 투자를 멈춰야 하나 고민이 되는 하루였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생각 트럼프 행정부는 지금까지의 미국의 성장은 국가의 보조로 인한 것이니 이제는 민간의 투자가 이루어져서 새로운 방식으로 시장의 상승을 해야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입니다.  말은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지금의 시장은 국가의 개입 없이 민간의 ..

투자 TALK 2025.04.04

트럼프의 상호관세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

트럼프는 미국 시간으로 2일 우리나라 시간으로 3일 오전 5시 상호관세를 즉시 발효 하였습니다.  상호관세는 상대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에 상응하는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이야기하는데 이게 참 초등학생 같은 생각입니다.  상대방 국가와 같은 세금을 부과한다라는게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에서 나올 말은 아닌 거 같습니다.  관세는 상대국의 무역도 보호해주고 품어주며 자국의 지키고 싶은 산업을 지킬 수 있는, 어떻게 보면 너무 자연스러운 시장의 경제에 생겨난 방어책 같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자동차를 만드는 나라에서는 수입 자동차에 관세를 조금더 붙여서 자국 산업에 경쟁력을 조금 불어넣어주고 그에 반대로 생산할 수 없는 부분에 있어서는 관세를 낮춰서 자국에 소비를 돕는 형태인데.. 상호관세라니....

투자 TALK 2025.04.02

미국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지난 2년간 즐거웠던 미국 증시가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오자마자 최악의 성과를 냈습니다.  트럼프가 시작한 상호관세에 우방국까지 돌아서는 미국시장에서 앞으로의 성장은 어떻게 봐야 할까를 한번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최근 들어 S&P500 지수는 4.6% 나스닥은 10.4% 하락했습니다.  그동안에 미국 시장이 하락하면 미국정부는 대책을 세워 시장에 개입을 해왔는데, 이번 트럼프 정부는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을 믿는 건지 자기들의 정책은 지금이 과도기이니 일시적인 하락은 어쩔 수 없다며 관세 정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미국시장은 자연스럽게 좋아질 거라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지금의 시장은 그렇지 못합니다.  예전과 같은 상황이라고 보면 안될꺼 같은데 지금 행정부는 너무 미국의 부채만 줄이는데 혈안이 되어..

투자 TALK 2025.04.01

미국 증시는 언제까지 하락할까?

미국은 당분간은 하락과 상승을 반복하는 어려운 장이 지속될 거라고 보이는데 사실은 전체적으로는 당분간은 하락이라고 보입니다. 그래도 일단 기업들은 튼튼하고 나아가고 있는 방향성이나 기업실적은 아직까지 시장에 큰 변화를 줄만한 악재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주식시장은 이렇게 하락을 하니 속이 탈 뿐입니다.  트럼프와 머스크의 리스크가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 생각보다 훨씬 민감하게 시장이 반응하는 거 같습니다.  S&P500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으로 인하여 계속되는 하락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을 예측하던 여러 전문가들도 전망이 엇갈리는 시점이기에 투자자들은 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한 신중한 투자를 해야 할 때입니다.  S&P500 지수 네이버에 검색을 해봐도 내가 산 ETF..

투자 TALK 2025.03.31

공매도 재개되면?

항상 주식 시장에서의 공매도는 논란이 되는 주제이며 이제 곧 우니라나 주식시장에 다시금 논란을 불러올 이야기입니다. 많은 개미 투자자들이 공매도를 부정적으로 보지만, 공매도의 순기능이 있기에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매도란 무엇인가? 공매도(Short Selling)는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투자 전략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을 매수하려면 먼저 돈을 주고 주식을 사야 하지만, 공매도는 주식을 빌려서 판 후, 나중에 다시 사서 갚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만약 주가가 하락하면 싸게 다시 사서 차익을 남길 수 있지만, 주가가 오르면 손실을 보게 됩니다. 쉽게 설명하면 내가 A라는 회사의 주식 10,000원짜리를 10주를 빌려서 100,000원을 매도합니다. 일단 빌려서 매도하고 며칠후에 주가가 ..

투자 TALK 2025.03.28

트럼프의 자동차관세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

역시 트럼프는 가만히 있지를 않습니다.  워낙에 독불장군 같은 느낌이라 하고 싶은 말 다해야 살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지만, 이렇게 까지 이야기를 할 일인가 생각해 보게 되는 시점입니다.  현대자동차가 미국에 31조를 투자한다고 합니다.  사실 저는 현대자동차가 우리나라 시장에 투자를 조금더 늘려서 청년고용과 실업률감소에 조금이라도 이바지하기를 바라지만, 기업이야 기업의 이윤을 따라가기에 거기에 감정을 이입해서 생각하면 안 될 거 같습니다. 이번 현대자동차 미국 투자가 미국내 제조업 일자리 증가와 트럼프가 말한 대로 미국에서 만들면 관세가 없다고 했으니, 현대차 입장에서는 다른 차들이 관세가 붙어서 가격이 올라갈 때 현대는  기존의 가격으로 팔수 있으니 다른 국가의 자동차보다 가격경쟁력에서 더 좋은 ..

투자 TALK 2025.03.27

미국 경기침체를 판단하는 7가지 지표

미국의 경제 침체를 예측하는 대표적인 7가지 지표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이 지표만 보고서 경기침체를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싶어서 정리해 봅니다.  1. 장단기 금리 역전 (Yield Curve Inversion)단기 국채 금리가 장기 국채 금리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장기국채는 10년물 단기국체는 2년물을 놓고 판단합니다. 그동안에  미국에서 발생한 경기 침체 전에는 대부분 금리 역전이 발생했으며 금리 역전이 발생하면 향후 12~18개월 내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보면 됩니다.  2. ISM 제조업 지수 (PMI, Purchasing Managers’ Index)미국 내 공급관리협회(ISM)에서 발표하는 제조업 경기 지표로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50 미만이..

투자 TALK 2025.03.26
728x90
반응형